
29. 콘센트, 랜선, 스피커 위치 관련 정보[17.03.17]
시공을 일주일 정도 앞두고 콘센트, 랜선, 스피커 선 위치에 대해서 확정해달라는 시공사의 요청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각 위치를 확정했다.
1. 콘센트
콘센트는 집의 디테일을 높이는데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을 해본다.
본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민해서 어디에 전원 소켓이 있으면 좋겠는지, 또는 지저분한 소켓을 어떻게 은폐 엄폐하는 것이 좋을지 철저히 고민 해 본다면 훨씬 깔끔한 집을 만들 수 있으며
콘센트라는게 집을 지을 때 만들어 놓지 못하면 그 이후에 추가하거나 없애거나 하는게 쉽지 않기 때문에 심사 숙고해서 결정해야 하는 건축주에게는 하나의 대표적인 숙제가 아닌가 생각을 해본다.
루트에서 넘겨준 콘센트 위치가 표시된 도면을 받아보고, 이리 저리 머리를 굴려가면서 적당한 콘센트의 위치를 상상해가면서
콘센트를 추가했다.
몇가지(로봇 청소기를 위한 1층과, 2층에 엄폐용 콘센트, 무선 청소기 청소를 위한 엄폐용 콘센트)는 확실히 생각해둔게 있어서 쉬웠는데 나머지는 생각보다 싶지 않았다.
그래도 열심히 고민해서 추가 요청한 콘센트는 아래와 같다.
2. 랜선
wan 구간도 100M이상으로 구축하길 원하지만 이 보다도 중요하게 생각한게
내부망은 반드시 기가망으로 구성하고 싶었다.
내부망 속도에 민감하지 않거나 공돌이적 마인드가 없는 분들은 무선으로 사용하면 되지 요즘 누가 유선 연결을 사용하냐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아직까지도 무선은 유선 연결을 할 수 없을 때 대체재로 선택되는 것이지 유선을 연결 할 수 있다면 당연히 유선을 연결하는 것이 속도나 안정성 모두에서 더욱 뛰어나다.
그래서 CAT6 등급의 랜선을 여러곳에 추가로 매립 요청했다.
이때 미처 생각하지 못한게 통신 단자함의 위치인데, 오픈 하우스등을 가본 경험에 의하면 대부분의 집에는 통신 단자함이 현관 쪽 신발장 안에 위치해 있었다.
나 처럼 많은 수의 랜선을 매립해둘 생각이라면 통신 단자함의 위치 및 공간(10포트 이상의 스위치+허브가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각 유선랜에서 2차 공유기를 설치할 경우 깔끔한 공유기 매립을 위한 공간 등을 함께 고려해야한다.
나는 CAT6등급의 랜선 매립 요청, 랜선 매립 추가 요청, 통신 단자함을 계단실 아래에 위치하게 해달라는 요청 정도만 했고
2차 공유기가 위치해야할 위치에 대한 고민 및 인입 통신 단자함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하지 않아서
네트워크 환경이 조금 꼬였다.
다른 분들은 그런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
3. 스피커 선 매립
앰프 위치를 기존 서재에서 다락 창고쪽으로 이동했다.
AirPlay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고, 실제적으로 앰프를 만질일이 적은 환경을 구성할 거기 때문에 굳이 지저분한 선이 주렁중렁 달려있는 앰프를 서재에 놓을 필요가 없었다.
지저분한 앰프는 다락 창고쪽으로 몰아두고, 벽면에 스피커선을 위한 8EA 이상의 아울렛 매립을 요청했다.
– 천장 매립 실링 스피커
모델명 보스 DS-16F
설치 위치 : 메인 욕실 2EA, 2층 화장실 1EA, 2층 계단위 천장 1EA
– 외부 스피커
모델명 보스 DS-16SE
설치 위치 1층 툇마루 벽체 윗 부분
– 가족실 스피커
모델명 클립쉬 RB-10
설치 위치 2층 가족실 – 스태드를 이용해서 북쉘프 스피커를 올려둘 생각이므로 가족실 양쪽 끝 부분 바닥에 스피커선이 매립되어야 함
4. 네스트 관련
보일러, 시스템 에어컨 연동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시공사에 요청했다.
에어컨은 LG 휘센 멀티 V 제품 사용 요청
보일러는 린나이 제품 사용 요청
에어컨용 네스트 설치 위치
거실, 주방, 아기방, 서재, 안방, 가족실 총 6EA
5. 설계 관련 추가 요청 사항
창고쪽 벽면을 반만 막아주기를 요청
단독주택을 지은 다른 블로그(달콤한 밤비네)에서 봤는데 훨씬 고급스러워서 시공을 요청함